가사의 명칭과 장르 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2:01
본문
Download : 20061m_.hwp
가사는 일단 문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고대민요로부터 향가(鄕歌), 고려 속요(高麗 俗謠), 경기체가(景幾體歌) 등 창(唱) 위주의 시가를 거쳐, 국문자가 창제된 조선조 사대부들에 의해 창출되어 오랜 세월 동안 창작, 향유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학 양식이라 할 수 있따
Ⅱ. 가사의 장르 연구사
이렇게 가사는 장르적 성격에 대하여 아직까지 명확한 규정이 내려지지 않았고, 아직 학계에 공인된 정론을 얻지 못하고 있따 이러한 가사의 장르적 성격을 기존의 학설들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요약해 보고자 한다.
Download : 20061m_.hwp( 92 )
3. 복합 장르설(조윤제, 장덕순, 박성의, 정재호, 김학성, 전일환, 전규태)
가사의 명칭과 장르 analysis(분석)
1. 시가 장르설(조윤제, 이태극, 김기동, 이상보)
다. 본론인 가사의 장르적 성격을 설명(說明)하기에 앞서 지금까지 가사의 장르에 대한 논의가 사적(史的)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 쟁점은 무엇인가를 학자들의 견해를 들어 살펴보자.





순서
시가장르설 수필장르설 복합장르설 교술장르설 / (고전문학)
Ⅲ. 가사 장르의 학설
2. 수필 장르설(주종연, 이능우, 박성의, 최강현)
Ⅳ. 結論
시가장르설 수필장르설 복합장르설 교술장르설
1. 제1기(1922년 조윤제로부터 1948년 박노춘까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교술 장르설(조동일, 성호경)
Ⅰ. 서론
시가장르설 수필장르설 복합장르설 교술장르설 / (고전문학)
2. 제2기(1948년 조윤제로부터 1968년 조동일 이전까지)
한국 고전문학사상 가사는 장르에 대한 논의가 가장 많았던 양식 중 하나이다. 이것은 가사가 형태상 운문성(韻文性)과 산문성(散文性), 내용상 서정성(抒情性)과 서사성(敍事性), 향유상 가창성(歌唱性)과 음영성(吟詠性)등 복합적이고도 종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고, 다양하게 발전한 history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3. 제3기(1969년 조동일부터 최근까지)
설명
현재까지 논의된 가사의 장르에 관한 논의는 ‘운문적 형식을 쓰면서 문필적 내용을 표현 묘사하는 문학’, ‘우리말로 구성지게 씌어진 문학적 작품들이면 몰아쳐 붙여졌었던 당시의 한 관례’, 어느 특정 장으로서의 개성을 규범적으로 지니고 창출되었다기보다는 일정학 율격(4음 4보격 연속체)을 지닌 하나의 가요로서 관습적으로 전수되어 온 관습상의 장르‘, ’교술장르류‘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