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유학)공부론의 예술적 함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3:44
본문
Download : 유학(유학)공부론의 예술적 함의.hwp
이를 이택후는 (종종 그렇게 생각하는 것처럼) 다만 석자에 대한 보충으로서만 볼 것이 아니라, 이 석자의 완성이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피력한다. 그런 뜻에서 앞서 언급한 자유로운 느낌이란 허공에 뜬 것이 아니라…(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22 , 유학(유학)공부론의 예술적 함의인문사회레포트 ,
다. 다만 이 심미감은 객관 세계의 外物이 지시하는 일정한 목적과 법칙에 이끌리고 있는 것으로, 이를 `합목적성`과 `합규율성`이 상호 통일된 `심미적 자유감`이라 표현하고 있따 예는 진리탐구의 자세를 바탕으로 할 때 비로서 예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游란 바로 그런 자유로운 느낌이 강조된 완숙성의 경지를 말한 것으로, 이택후는 이를 예술창작을 비롯한 인간의 제반 삶의 활동에서 나타나는 심미적인 `창조적 느낌`으로 보았다. 다음 두 가지 까닭 때문일것이다 첫째는 단지 석자만으로는 內向的· 靜態的 상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아직 실현되지 않은 인격을 의미한다면, 이 마지막 사안을 통해서 인격은 현실화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요컨대 이는 공자가 객관적 현실세계에서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물질 영역을 자유로이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물질기능에 대한 장악`) 뜻으로, 경세론적 요구, 즉 治國平天下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안으로 본 것이로되, 후대의 유학공부가 단순히 윤리도덕 수양에 치중하려 한 경향과는 상당히 다른 견해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따
그의 논지에서 좀더 흥미를 끄는 부분은 둘째 대목인데 藝가 道·德·仁 석자 뒤에 나오는 까닭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EA%B3%B5%EB%B6%80%EB%A1%A0%EC%9D%98%20%EC%98%88%EC%88%A0%EC%A0%81%20%ED%95%A8%EC%9D%98_hwp_01.gif)
%EA%B3%B5%EB%B6%80%EB%A1%A0%EC%9D%98%20%EC%98%88%EC%88%A0%EC%A0%81%20%ED%95%A8%EC%9D%98_hwp_02.gif)
%EA%B3%B5%EB%B6%80%EB%A1%A0%EC%9D%98%20%EC%98%88%EC%88%A0%EC%A0%81%20%ED%95%A8%EC%9D%98_hwp_03.gif)
%EA%B3%B5%EB%B6%80%EB%A1%A0%EC%9D%98%20%EC%98%88%EC%88%A0%EC%A0%81%20%ED%95%A8%EC%9D%98_hwp_04.gif)
%EA%B3%B5%EB%B6%80%EB%A1%A0%EC%9D%98%20%EC%98%88%EC%88%A0%EC%A0%81%20%ED%95%A8%EC%9D%98_hwp_05.gif)
%EA%B3%B5%EB%B6%80%EB%A1%A0%EC%9D%98%20%EC%98%88%EC%88%A0%EC%A0%81%20%ED%95%A8%EC%9D%98_hwp_06.gif)
Download : 유학(유학)공부론의 예술적 함의.hwp( 47 )
순서
22
유학(유학)공부론의 예술적 함의
,인문사회,레포트
音樂 역시 악기 연주를 위한 일정한 기법에 통달해야 하는 바 그런 것이며, 나머지 네 가지 課題도 마찬가지로 설명(說明)할 수 있따 그런데 이택후에 따르면 공자가 유학공부론의 대강령을 이루는 `道·德·仁` 석자를 말한 것으로 끝나지 않고 여기에 藝를 덧붙여 넉자를 만든 것은, 내면적 닦음과 병행하여 그러한 물질영역에서도 역시 상응하는 닦음이 요구되기 때문이라 하였다. 물질 도구를 다룰 줄 알아야 하되 마침내 자유로운 느낌(`自由感`)이 창출될 지경까지 반드시 아주 완숙한 상태가 되도록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