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국문-어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9:48
본문
Download : 국문-어미.hwp
그 중에서도 종속접속의 어미들이 그러하다. ⓓ,ⓔ는 구어체에서라면 두 가지 표현이 모두 가능하지만 公式(공식)적 문어체에서는 각각 ‘ꔆ’표가 붙은 형태는 어색하다.
,인문사회,레포트
다.
(2) 접속어미의 종류
(3) 접속어미의 특징
① 한국어의 어미 중 그 수도 가장 많고, 그 의미 기능도 가장 다양한 편이어서 그 하나하나를 다 설명(說明)하기 어렵다.
ⓓ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ꔆ서울이네}.
ⓔ 한국의 수도는 {ꔆ어디냐/어디인가}?
⑥ 약속문, 감탄문, 허락문 등을 더 설정하는 수도 흔히 있는데 앞의 표에 없는 어미들이 이런 문장을 만드는 독자적인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일것이다 이들 어미는 해라체에만 쓰일 뿐 나머지에서는 일반 어미로 바뀌므로 이런 종류의 문장은 각각 평서문과 명령문의 특수한 용법이라 볼 수 있다
ⓕ 1. 이번 휴가 때는 꼭 너희 집에 가마. (약속문)
2. 이번 휴가에는 꼭 선생님 댁에 가겠어요. (평서문)
ⓖ 1.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가는구나! (감탄문)2.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갑니다! (평서문)
ⓗ 1. 가고 싶으면 가렴/가려무나. (허락문)
2. 가고 싶으면 가요. (명령문)
우…(투비컨티뉴드 )
(1) 접속어미 기능 : 접속어미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
국문-어미에 대한 글입니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글에서는 해라체 쓰는 것이 이나 의문문의 경우에만 하게체를 쓴다.
설명
순서
국문-어미
국문-어미
국문-어미에 대한 글입니다.국문-어미 , 국문-어미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문-어미.hwp( 85 )
ⓒ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느냐/ꔆ다니}가 문제다.